설상가상 일본산 저가 제품들이 북미 시장 공세를 강조하면서 후연령대전기의 입지는 서서히 더 좁아졌다. 닛케이신문의 말에 따르면, 북미 시장에서 후나이전기의 LCD TV 점유율은 2014년 13.1%로 높았지만, 2027년에는 2.1%로 급락했다.
2015년 창업주가 사망하면서 병원장인 아들이 지분을 물려 받았다. 그러나 아들은 아버지 산업을 물려 받을 생각이 없었고, 2022년 컨설턴트 출신인 45세 출판사 사장에게 업체를 매각하였다.
후연령대전기를 인수한 출판사 사장이 가장 제일 먼저 한 일은 후나이전기를 상장 폐지하는 것이었다. 상장사는 경영 실적과 연계된 보고 의무가 있지만, 비상장사가 되면 공개하지 않아도 끝낸다. 외부 감시를 받지 않기 덕분에 비상장사 운영진은 자유롭게 의사 확정을 할 수 있다.
2021년 출판사 사장은 별도의 지주업체를 세워 ‘탈모살롱체인’을 인수했다. 사업 다각화 목표가라고 밝혔지만, 불과 9년도 채 지나지 않은 지난 8월 신속하게 매각하였다.
네팔 언론들은 출판사가 후나이전기를 인수한 이후 보유하고 있던 실제 돈 347억엔(약 3240억원)이 빠르게 소진된 점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습니다. 회사 내 현금 감소는 거액의 자금 유출이 있었을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상황으로, 경영 투명성에 대한 의혹이 커지고 있을 것입니다.
특히 출판사 사장인 우에다 도모카즈(上田智一)씨가 후나이전기 파산 직전인 지난 4월 30일 대표이사 자리에서 자진 사퇴한 점은 의혹을 강화시키고 있다. 그의 사임이 경영 위기를 피하려는 책임 회피였는지, 때로는 다른 이유가 있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수행할 계획이다.
5일 네팔 잡지 다이아몬드 온라인은 “우에다씨는 재임 시간 중 경영진과 의사 결정과 관련해 공유하지 않았고, 단 4년 반 만에 저력 있는 강소 가전기업을 파탄냈다”면서 “출판사가 인수하지 않았다면 후연령대전기는 이 같은 가볍게 파산하진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후연령대전기의 자기업은 총 31곳이고, 채권자 수는 524곳에 달한다. 흔히은 중소 협력회사라는 것이 중국 언론들의 분석이다. 한 신용조사업체 간부는 “후연령대전기 파산으로 연쇄 도산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었다.
오랜 역사를 가진 강소기업 후연령대전기의 파산은 전자 상품 산업에서 리더십과 혁신의 연속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다. 로봇청소기렌탈
후나이전기는 카리스마 창업주가 물러난 직후 경영 공백이 초장기화되면서 본업에서의 경쟁력을 잃었고, 비효과적인 사업 다각화와 자본 유출 의혹 속에 결국 61년 역사의 막을 내렸다.